Realismo의 취미생활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Realismo의 취미생활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03)
    • 스페인어 (23)
    • 중남미 (27)
    • 해외마케팅 (16)
    • 트럼펫 (2)
    • 수제맥주 (32)
    • 요트 (102)

검색 레이어

Realismo의 취미생활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해외마케팅

  • 과테말라, 한국과 중미 FTA 가입 협상 타결 선언

    2023.09.21 by 쪼리아빠

  • 한국기업의 멕시코 투자 동향

    2023.09.01 by 쪼리아빠

  • 'K-뷰티' 칠레를 사로잡다

    2023.07.05 by 쪼리아빠

  • 브라질 주요 온·오프라인 유통망 및 마케팅 전략

    2023.06.23 by 쪼리아빠

  • 일본의 2대 전자상거래 플랫폼(라쿠텐, 아마존) 비교

    2023.06.22 by 쪼리아빠

  • 미국 전자상거래시장 동향과 마케팅 트렌드

    2023.06.16 by 쪼리아빠

  • 일본 경제통상리포트 [23-02] 코로나 이후 일본 관광산업 현황과 전망

    2023.06.07 by 쪼리아빠

  • 美 전기차 전환에 총력전, 농기계까지?

    2023.05.25 by 쪼리아빠

과테말라, 한국과 중미 FTA 가입 협상 타결 선언

통상·규제 / 과테말라 / 과테말라무역관 곽은자 / 2023-09-21 / 출처 : KOTRA 9월 5일 과테말라, 한-중미 자유무역협정에 가입 협상 과테말라, 중미 6개국 중 최대 경제국으로 수출 및 북중미 진출 확대 과테말라, 한국-중미 FTA 가입 협상 타결로 FTA 네트워크 확대 2023년 9월 5일(화), 산업통상자원부는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과 루스 뻬레스(Luz Perez) 과테말라 경제부 장관은 화상회의를 통해 과테말라의 한-중미 국가 간의 자유무역협정(FTA)에 가입 협상이 최종 타결돼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중미 FTA는 과테말라를 제외한 5개국과 2018년 2월 정식 서명을 마친 후 2019.8월 대한민국 국회에서 한-중미 FTA 협정이 비준되면서 국가 별로 ..

해외마케팅 2023. 9. 21. 16:42

한국기업의 멕시코 투자 동향

투자진출 / 멕시코 / 멕시코시티무역관 박주영 / 2023-08-31 / 출처 : KOTRA 한국, 2022년 기준 멕시코의 일곱 번째 투자국 운송장비 제조업, 전기전자제품, 컴퓨터 및 통신 액세서리 제조업 순 멕시코 진출 한국기업 동향 멕시코 경제부에 따르면 1999년부터 2022년까지 멕시코에 투자한 이력이 있는 한국 기업은 2,070여 개이나, 교민기업 및 휴폐업기업 사후관리 부족, 추가투자 중복집계 등을 고려한다면 실질 숫자는 좀 더 작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수출입은행에서는 1980년도부터 2022년까지 누적 기준 473개사의 한국 회사가 멕시코에 법인을 설립했고, 총투자액은 약 73억 달러로 집계하고 있다. 멕시코는 중남미 내 한국기업들의 1위 투자대상국이다. (단위: 개사, US$ 억) 구분..

해외마케팅 2023. 9. 1. 08:31

'K-뷰티' 칠레를 사로잡다

바이어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는 칠레 화장품 시장 현장·인터뷰 / 칠레 / 산티아고무역관 이동희 / 2023-07-03 / 출처: KOTRA 한국 제품, 칠레 대형 약국·화장품 유통망에 진출 칠레 대형 약국·화장품 유통사(Medcell)와 인터뷰 한국의 대칠레 화장품 수출 동향 최근 BTS, OTT 시리즈 등 한류 영향으로 칠레 시장에서 K-뷰티가 수출 유망품목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HS Code 3304* 기준 2022년 칠레는 한국의 중남미 3위 화장품 수출국으로 최근 5년간 한국산 화장품 수출의 연평균 증가율은 27%에 달한다. 한국산 화장품 수출에서 9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제품은 스킨케어다. 주: 미용이나 메이크업용 제품류와 기초화장용 제품류[의약품은 제외하며,..

해외마케팅 2023. 7. 5. 09:52

브라질 주요 온·오프라인 유통망 및 마케팅 전략

트렌드 / 브라질 / 상파울루무역관 권준혁 / 2023-06-20 / 출처 : KOTRA 소비재 관련, 재고 판매보다 실수요 기반의 유통망 활용이 유리할 것으로 전망 브라질 유통 시장은 오프라인 대비 온라인의 영향력이 강해지고 있는 상황 독자적인 결제/물류 시스템 운영, 브랜드 마케팅 활용 등 유통사별 전략도 다양 자사의 판매 전략과 가장 잘 맞는 유통망을 찾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예상 브라질 시장 특성 및 유통망의 중요성 인구 약 2억1500만 명으로 세계에서 7번째로 인구가 많은 브라질은 복잡한 세금 체계로 수입품의 물가가 매우 높아 많은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초기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곤 한다. 브라질 현지 상법에 따라 수입통관은 수입자가 진행해야 하는데 이에 따라 창고 보관, 내륙 운송 등 이후..

해외마케팅 2023. 6. 23. 11:32

일본의 2대 전자상거래 플랫폼(라쿠텐, 아마존) 비교

트렌드 / 일본 / 후쿠오카무역관 노정훈 / 2023-06-16 / 출처 : KOTRA 일본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 플랫폼별 특징 및 판매 희망 상품 품목을 고려해 적합한 입점 검토가 필요할 것 일본의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의 추이 이미 소비시장에서 전자상거래 비중이 50%를 훌쩍 넘어간 한국에 비하면, 일본의 EC화율(전체 상품판매 중 전자상거래 차지 비율)은 2021년에 8.78%를 기록할 정도로 낮다. 하지만 이를 반대로 해석하면 일본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아직 잠재력이 높은 시장이라고 볼 수 있다. (단위: 억 엔) [자료: 일본 경제산업성 전자상거래 시장보고서(2022년 발행)] 일본 전자상거래 주요 플랫폼 현재 일본 시장에서 높은 실적을 자랑하는 주요 전자상거래..

해외마케팅 2023. 6. 22. 14:14

미국 전자상거래시장 동향과 마케팅 트렌드

미국 / 뉴욕무역관 김동그라미 / 2023-06-14 / 출처 : KOTRA 2022년 미국 소매 전자상거래시장 규모 1조 달러 돌파 향후 식품∙주류 품목의 온라인 유통 확대 전망 인플루언서, 소셜미디어 채널 활용도 극대화 전략 필요성 확대 미국 전자상거래 시장 동향 지난 2022년 미국 소매 전자상거래 시장은 1조 달러 규모를 넘어섰다. 시장조사기관인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이 시장의 매출 규모는 전년 대비 8.2% 증가한 1조781억290만 달러를 기록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장된 지난 2020년(전년 대비 +34.1%) 큰 폭의 증가율을 기록한 이후 성장세는 다소 둔화됐으나 꾸준하게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품목 별로는 의류와 신발, 안경, 액세서리 등 패션 관련 품목이 2143억310만 달러..

해외마케팅 2023. 6. 16. 10:24

일본 경제통상리포트 [23-02] 코로나 이후 일본 관광산업 현황과 전망

글로벌 이슈 모니터링 / 경제통상 리포트 / 일본 도쿄무역관 / 2023-05-31 출처 : KOTRA 202305[경제통상 리포트(23-02)] 코로나 이후 일본 관광산업 현황과 전망.pdf 2022년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수는 2021년 대비 15배가 증가한 383만 명을 기록 2023년 1분기 관광객 1인당 지출액은 21만 2천엔을 기록, 2019년(15만8천엔)대비 30% 이상 상승 2023년 3월 기시다 정부는 6년 만에「관광입국추진기본계획」개정. 주요 시책에는 지속가능한 관광지역 조성, 방일 외국인 관광객 회복과 소비 확대가 포함 2030년까지 오사카 통합형 리조트 운영과 EXPO 이후 해당 지역의 투자 활성화에 따라 연간 1조엔 규모의 경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

해외마케팅 2023. 6. 7. 17:54

美 전기차 전환에 총력전, 농기계까지?

미국 / 디트로이트무역관 송소영 / 2023-05-18 / 출처 : KOTRA 전기차 패러다임 전환, 오프하이웨이 차량도 예외 없다. 건설 오프하이웨이 장비 및 차량이 전기화의 최전선 농기계 전기화 황금빛 전망의 중심엔 트랙터 미국 정부는 ‘친환경차’ 전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해 발효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더해, 지난 4월 미국 환경보호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이하 EPA)은 자동차 배기가스 기준 강화안을 발표했다. 이번 EPA 규제안으로 2032년까지 판매되는 소형 신차의 67%, 중형 신차의 46%가 전기차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바이든 정부는 집권 초기부터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의 50% 이상 감축’을 목표하고 있으며, 이번 규..

해외마케팅 2023. 5. 25. 09:0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Realismo의 취미생활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